aws 컴퓨팅 서비스
퍼블릭 클라우드에서 컴퓨팅 자원을 활용하여 다양한 워크로드를 수행할 수 있는 서비스
- EC2 : 클라우드 환경에서 서버 자원을 인스턴스라는 가상 머신 형태로 제공하는 가장 기본적인 AWS 컴퓨팅 서비스
- Lambda : 서버리스 컴퓨팅 서비스로, 별도의 서버 설정이 없는 환경을 제공하여 코드만 실행해 주는 서비스
- Lightsail : 독립적인 환경을 제공하며, 최소한의 설정만으로도 손쉽게 사용 가능한 컴퓨팅 서비스
항목 | EC2 | Lambda | Lightsail |
용도 | 가상 서버를 사용하여 사용자 지정 환경 구축 | 이벤트 기반의 서버리스 컴퓨팅 | 단순 웹사이트, 애플리케이션 호스팅 |
배포/관리 | 사용자가 서버 설치, 설정 및 유지 관리 | 코드 배포만 필요 (서버 관리 불필요) | 미리 구성된 템플릿으로 빠르게 시작 가능 |
과금 방식 | 시간 및 리소스 크기에 따라 과금 | 실행 시간 및 호출 수에 따라 과금 | 월별 고정 요금 (예상 비용 관리 용이) |
자동 확장성 | 수동 또는 Auto Scaling 설정 필요 | 완전 자동 확장 지원 | 정해진 사양 내에서 고정 |
사용 편의성 | 설정 및 관리가 복잡 | 서버 관리 불필요, 간단한 설정 | 사용자 친화적 인터페이스 제공 |
네트워킹 | VPC, Subnet, Security Group 설정 가능 | VPC 통합 가능 | 기본 네트워킹 구성 제공 |
스케일링 속도 | 느림 (새 인스턴스 시작 필요) | 매우 빠름 (자동 확장 지원) | 제한적 (설정된 사양에 종속) |
가격 효율성 | 리소스 사용량에 따라 다름 | 트래픽이 간헐적인 경우 매우 저렴 | 단순 작업에 적합, 고정 비용 |
유지보수 | 사용자가 관리 | AWS가 완전히 관리 | AWS가 대부분 관리 |
운영 체제 지원 | 사용자 선택 가능 (Windows, Linux 등) | N/A (코드 실행만 지원) | 주로 Linux 기반 이미지 |
초기 설정 | 복잡 (OS 설치, 네트워크 설정 등) | 간단 (코드 업로드 및 환경 변수 설정) | 매우 간단 (몇 분 내 시작 가능) |
기본 활용 시나리오 | 대규모 애플리케이션, 데이터베이스, 머신러닝 | 이벤트 기반 작업 (API, 데이터 처리 등) | 소규모 웹사이트, 블로그, 간단한 앱 호스팅 |
- EC2는 고도의 사용자 지정 및 강력한 제어가 필요한 대규모 프로젝트에 적합
- Lambda는 서버리스 환경에서 이벤트 중심 작업을 수행할 때 효율적
- Lightsail은 간단하고 빠른 배포가 필요한 소규모 프로젝트나 개인 애플리케이션에 적합
☁️ AWS Lightsail vs EC2 비교 어느게 좋을까?
EC2 vs Lightsail 비교 AWS에서는 웹서비스 호스팅을 위해 EC2와 Lightsail 가상 서버 서비스를 제공한다. 둘 다 인스턴스를 생성해서 서비스를 올려봐도 어떤게 내 상황에 맞는 서비스인지 잘 확신이 서
inpa.tistory.com
AMI : EC2 인스턴스에 대한 운영 체제와 소프트웨어를 정의한 템플릿
EC2 스토리지 : EC2 인스턴스의 데이터 저장소
- 인스턴스 스토어 : EC2 인스턴스에 바로 붙어 있는 기본적으로 생성되는 임시 저장소
- 매우 빠른 I/O , 임시적인 데이터 저장소
- EBS : EC2 인스턴스에 네트워킹을 통해 연결 및 제거가 가능한 블록 스토리지
- 영구 보존이 가능한 스토리지
- 스냅샷을 생성하여 백업하거나 Amazone EBS 연결을 해제한 후 다른 인스턴스에 연결 가능
EC2 네트워킹 : EC2 인스턴스가 통신할 수 있는 네트워크 환경
- VPC : AWS 클라우드상 논리적으로 격리된 가상의 클라우드 네트워크
- ENI : VPC에 생성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로 EC2 인스턴스에 연결
- IP : EC2 인스턴스의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주소
EC2 보안 : EC2 인스턴스의 안정적인 서비스를 위한 보안 정책
- 보안 그룹 : EC2 인스턴스에 대한 송수신 트래픽을 제어하는 접근 제어 정책
- 키 페어 : EC2 인스턴스에 접근에 대한 자격 증명을 위한 보안 키
EC2 모니터링 : EC2 인스턴스의 자원 상태에 대한 수동/자동 모니터링
- 수동 모니터링 : 관리자가 직접적으로 관리 콘솔에 접근하여 EC2 자원 모니터링
- 자동 모니터링 : 특정 지표에 대한 임계값 기준에 따라 동적인 경보 작업을 수행하는 모니터
'잡다한 공부 > AW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. AWS 네트워킹 (2) | 2024.12.16 |
---|
댓글